[무료 이미지 - 저작권 무료]
70년대 가정용 전화기, 80년대 업무용 인터폰
정물, 사물, 전화기, 인터폰, 70년대
70년대 말부터 80년대 초반경에 사용되었던 가정용 전화기는 검은색 또는 흰색의 네모형 전화기로, 그 시절 서민들에게 친근했습니다. 한국에서는 체신 1호를 개선한 체신 70호 시리즈가 개발되었고, 이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전화기의 기본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또한, 70년대 말부터 80년대 초반경에 사용되었던 주황색의 네모형 공중 전화기도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전화기로는 다이얼을 돌려서 전화를 걸던 아날로그 전화기가 있었습니다. 1부터 0까지 씌여진 숫자판을 끝까지 돌려서 놓으면 촤르륵~ 최르륵~ 소리를 내면서 원위지로 돌아가던 바로 그 전화기입니다.
더 오랜 과거 시대에 전화를 걸 때는 전화 가입자가 교환원에게 “몇 번 부탁합니다” 하고 얼마간 기다려야 상대방과 연결됐습니다. 그 후, 전화기를 들면 회선에 전류가 흘러서 교환대에 설치된 램프를 점등시키면 교환원을 호출하는 방식으로 통화가 이뤄졌습니다.
드디어 70년대를 지나가며 당시의 가정용 전화기는 현재의 공중전화기 수준으로 거대했는데, 결제 시스템 등의 자잘한 기기들이 많이 들어가서 사이즈가 큰 공중전화기와 달리 순수하게 전화 기능을 구현하는 것만으로도 그 정도의 크기가 필요했습니다. 1973년 체신 70호 시리즈가 개발되면서 현재 사용하는 전화기의 기본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70년대까지만 해도 전화는 일부 특권층만이 가질 수 있는 대상이었습니다. 가입자가 전체 수요 중 10% 정도에 불과했고, 가입자가 사고팔 수 있었던 백색전화는 서울 강남 일부 지역에서 판매가격이 200만원을 넘기도 했습니다.
인터폰은 건물 안과 바깥을 이어주는 소통의 도구로 사용되지만, 아파트, 호텔, 사무실, 빌딩, 교회, 식당, 레스토랑, 음식점 등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내 전화기이기도 합니다. 주로 건물 내부에서 상호간 간단한 대화를 나누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인터콤은 일반적으로 건물과 차량에 영구적으로 장착되지만 분리 가능하고 휴대할 수도 있습니다. 최신 세대는 컴퓨터와도 호환되며 일부 모델에는 TCP/IP 호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Home phones in the late 70s and early 80s were black or white square phones that were familiar to the common people of the time. In Korea, the Chessin 70 series was developed, which improved on the Chessin 1, and became the basis for the phones we use today. There were also orange-colored square public phones that were used in the late 70s and early 80s. These were analog phones that you dialed by turning a dial. These were the same phones that had a number plate with 1's and 0's on it, and when you turned it all the way to the end and released it, it would make a chirping sound and return to the origin.
In an even more distant past, making a call required the caller to ask the operator to "say please a few times" and wait a while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e. Then, when you picked up the phone, an electric current would flow through the line, lighting up a lamp on the switchboard, which would then summon the operator.
Finally, by the 70s, home phones were as huge as today's pay phones, and unlike pay phones, which are huge because they have a lot of bells and whistles like payment systems, they needed to be that size just to fulfill the purely telephonic function. In 1973, the Chessin 70 series was developed, which became the basis for the phones we use today. Until the '70s, telephones were the preserve of the privileged few. Subscribers accounted for only 10% of the total demand, and the white phones that subscribers could buy and sell could cost over 2 million won in some areas of Gangnam, Seoul.
Intercom is a communication tool that connects the inside of a building to the outside, but it is also a premises telephone installed inside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hotel, office, building, church, restaurant, or eatery. It is used primarily for simple conversations between people inside the building. Intercoms are usually permanently mounted in buildings and vehicles, but they can also be detachable and portable. The latest generation is also compatible with computers, and some models include TCP/IP compatibility.
이 이미지는 아래 사이트에서 생성한 AI 이미지입니다.
▶ 플레이그라운드
저작권 걱정없이 CC0 라이선스로 무료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업적, 공개용 저작권 권한은 이 링크에서 확인하길 바랍니다.
[ 70년대 가정용 전화기, 80년대 업무용 인터폰 ]
'AI 무료 이미지 > 정물_사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 핸드백, 숄더백 무료 이미지 | Women's handbags, shoulder bags (0) | 2024.05.05 |
---|---|
노리개와 선물 무료 이미지 : norigae, Korean ornaments gift (0) | 2024.04.29 |
에메랄드 반지, 보석 반지, 금 반지 (무료 이미지) (0) | 2024.04.21 |
서양 장기 체스, 체스 말과 체스 판, 유래 역사 (0) | 2024.04.20 |
Quilt(퀼트) 옷감과 천, 수제품 천조각, 누비질 무늬 (0) | 2024.04.19 |